정보처리기사/정처기 오답노트

정처기 오답노트 - 2021 1

메카인 2023. 3. 2. 18:37

◆계속 나오는거

●CASE

●UML

●유스케이스

●럼바우


◆모르는 개념

●RPC(Remote Procedure Call)(원격 프로시저 호출)

▷별도의 원격 제어를 위한 코딩 없이 다른 주소 공간에서 리모트의 함수나 프로시저를 실행 할 수 있게 해주는 프로세스간 통신입니다. 즉, 위치에 상관없이 RPC를 통해 개발자는 위치에 상관없이 원하는 함수를 사용할 수 있습니다.

●프로그램 구조 fan-in 

▷모듈에 필요한 상위 모듈의 개수

●프로그램 구조 fan-out
▷모듈을 사용하는 하위 모듈의 개수

●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중 Coad-Yourdon

▷E-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객체의 행위를 모델링

●해싱 함수(Hashing Function)

●데이터베이스의 종속이상

▷삽입 이상 (insertion anomaly) : 원하지 않는 자료가 삽입된다든지, key가 없어 삽입하지 못하는(불필요한 데이터를 추가해야 삽입할 수 있음) 문제점
▷삭제 이상 (deletion anomaly) : 하나의 자료만 삭제하고 싶지만, 그 자료가 포함된 튜플 전체가 삭제됨으로 원하지 않는 정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
▷갱신 이상 (update anomaly) : 일부만 변경하여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모순, 또는 중복되는 튜플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. 

●응집도

▷응집도는 모듈의 독립성을 나타내는 개념으로, 모듈 내부 구성요소 간 연관 정도

▷기능적>순차적>통신적>절차적>시간적>논리적>우연적

https://computer-science-student.tistory.com/140

●결합도 (내용 결합도)

▷결합도는 모듈 내부가 아닌 외부의 모듈과의 연관도 또는 모듈 간의 상호의존성을 나타내는 정도

▷내용>공통>외부>제어>스탬프>자료

 AES, MD4, MD5, SHA-1

●Baas

▷은행, 증권 등의 금융사가 서비스를 기능 단위로 모듈화하여 라이선스가 없는 핀테크 업체에게 제공하는 것을 뜻합니다.

●스마트 그리드

▷전기 및 정보통신 기술을 활용하여 전력망을 지능화·고도화함으로써 고품질의 전력서비스를 제공하고 에너지 이용효율을 극대화하는 전력망입니다.

●스트림 암호화 방식

▷스트림 암호(stream cipher)는 대칭 키 암호의 구조 중 하나로, 유사난수를 연속적(스트림)으로 생성하여 암호화하려는 자료와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.

●세션 하이재킹

▷세션(Session)은 사용자와 컴퓨터, 또는 두 대의 컴퓨터 간의 활성화된 상태를 말한다. 세션 하이재킹은 시스템 간 연결이 활성화된 상태, 즉 로그인(Login) 된 상태를 가로채는 것을 뜻한다.


●운영체제 분석을 위해 리눅스에서 버전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?

▷uname

 

●응용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원격 프로시저를 로컬 프로시저처럼 호출하는 방식의 미들웨어는?

▷RPC(Remote Procedure Call)

 

●기본 유스케이스 수행 시 특별한 조건을 만족할 때 수행하는 유스케이스는?

▷확장

 

●다음중 요구사항 모델링이 활용되지 않는 것은?

▷단계 다이어그램(Phase Diagram)

 

●소프트웨어 설계 시 제일 상위에 있는 main user function에서 시작하여 기능을 하위 기능들로 분할해 가면서 설계하는 방식은?

▷하향식 설계

 

●디지털 저작권 관리(DRM)에 사용되는 기술요소가 아닌 것은?

▷방화벽

 

●해싱 함수(Hashing Function)의 종류가 아닌 것은?

▷개방주소법(open addressing)

- 제곱법(mid-square)

- 숫자 분석법(digit analysis)

- 제산법(division)

 

●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정의한 것으로 데이터 개체, 관계, 제약조건, 접근 권한, 무결성 규칙 등을 명세한 것

▷개념 스키마

 

●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,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, 접근 경로 설계와 관계되는 것은?

▷논리적 설계

 

●카디널리티 : 튜플의 수 , 차수 : 속성의 수

 

●병행제어의 로킹(Locking)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▷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.

- 데이터베이스, 파일,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.

-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한다.

-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.

 

●3NF에서 BCNF가 되기 위한 조건은?

▷결정자이면서 후보 키가 아닌 것 제거

 

●다음중 응집도가 가장 높은 것은?

▷절차적 응집도

 

●OSI 7계층에서 물리적 연결을 이용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송하려고 동기화, 오류제어, 흐름제어 등의 전송에러를 제어하는 계층은?

▷데이터링크 계층

 

●IEEE 802.3 LAN 에서 사용되는 전송매체 접속 제어(MAC) 방식은?

▷CSMA/CD

 

●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은?

▷Mutual exclusion

▷Hold and wait

▷Non-preemption

 

●TCP/IP 에서 TCP가 해당하는 계층은?

▷트랜스포트 계층

 

●C언어에서 변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?

▷short

- _sub

 

●가상기억장치의 일반적인 구현 방법에는 프로그램을 고정된 크기의 일정한 블록으로 나누는 (  )기법과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는 (  ) 기법이 있다.

▷Paging, Segmentation

 

●다음 암호 알고리즘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?

▷AES

- MD4, MD5, SHA-1

 

●크래커가 침입하여 백도어를 만들어 놓거나, 설정파일을 변경했을 때 분석하는 도구는?

▷tripwire

 

●사물통신, 사물인터넷과 같이 대역폭이 제한된 통신환경에 최적화하여 개발된 푸시 기반의 경량 메세지 전송 프로토콜

●IBM이 주도하여 개발

▷MQTT

 

●정보 보안을 위한 접근 통제 정책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?

▷임의적 접근 통제

▷강제적 접근 통제

▷역할 기반 접근 통제

- 데이터 전환 접근 통제

 

●정형화된 분석 절차에 따라 사용자 요구사항을 파악, 문서화하는 체계적 분석 방법으로 자료흐름도, 자료사전, 소단위 명세서의 특징을 갖는 것은?

▷구조적 개발 방법론

 

●블록체인 개발환경을 클라우드로 서비스하는 개념

▷Baas

 

●전기 및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화, 고도화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망은?

▷스마트 그리드

 

●세션 하이재킹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?

▷FTP SYN SEGMENT 탐지

- 비동기화 상태 탐지

- ACK STORM 탐지

- 패킷의 유실 및 재전송 증가 탐지

 

●소셜 네트워크에서 악의적인 사용자가 지인 또는 특정 유명인으로 가장하여 활동하는 공격 기법은?

▷Evil Twin Attack

▷Phising

 

●공개키 암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▷10명이 공개키 암호를 사용할 경우 5개의 키가 필요하다.

- 복호화키는 비공개되어 있다.

- 송신자는 수신자의 공개키로 문서를 암호화 한다.

- 공개키 암호로 널리 알려진 알고리즘은 RSA가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