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 공부/Python

[Python] 파이썬 기초 (1)

메카인 2023. 4. 2. 18:19

◆◆자료형

문자열(str)

●문자열

▷문자열은 불변 자료형이다.

●len()

▷괄호 안에 있는 데이터의 길이 출력

●ord()

▷문자를 해당 아스키 코드 정수로 변환

●chr()

▷정수를 해당 아스키 코드 문자로 변환

 

◆None

▷'값이 없음'을 표현하는 자료형

 

범용함수

●type()

▷괄호 안에 입력된 데이터의 자료형을 반환


◆연산

◆사칙연산

●거듭제곱

▷a**b

●e-표기법

▷소수와 10의 제곱승 이용( e+08 = 10의 8제곱) 

 

※C언어와 비교해 크게 논리연산자와 비트연산자가 다르다.

논리연산자

●and(논리곱 연산)

▷둘 다 참일때만 참

●or(논리합 연산)

▷둘 중 하나만 참이여도 참

●not(논리 부정)

▷논리상태의 반전

 

◆비트 연산자

●&(비트 논리곱)

●|(비트 논리합)

●^(비트 XOR)

●~(비트 논리 부정)


◆자료의 입출력

◆입력

●input()

출력

●콤마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형태

world='world'
print('hello',world)

●% 형식지정자를 이용하는 형태

world='world'
print('hello %s'%(world))

●format() 함수를 이용하는 형태

a,b,c=1,2,3
print('{0}+{1}={2}'.format(a,b,c))

 

●end=' ' 

▷print()문에 사용되며 개행문자(\n)을 자동으로 적용해줌을 풀기위해 넣어준다

print('Hello wolrd! not enter pls',end='')

◆조건문

●생략 ~ 단, switch case 문이 없고 else if 대신 elif를 쓰는것을 명심하자.


◆반복문

●range()

▷시작 값부터 종료 값까지 증가 값 만큼씩 증가시키면서 항목의 원호를 하나씩 꺼내와 제어 변수에 저장한 뒤, for 문에 종속된 명령문들을 실행

▷정수는 가능하지만, 실수는 불가능하다.

ex) range(0,10,1) range(0,10) range(10)

●for x in range(0,10,1)

▷10번 반복한다.

▷이때 반복횟수는 x라는 변수로 접근할수 있다(0~9)

//C의 경우
for(int x=0;x<10;x++)

●break

▷반복문 탈출문

 

●continue

▷반복문 위로 다시 돌아가는 문


컬렉션 자료형

컬렉션 자료형 종류 생성방법
리스트 []
튜플 ()
딕셔너리 {키:값}
세트 {}

리스트

●append(x)

▷리스트 맨 마지막에 x의 값을 추가한다.

●insert(index,x)

▷리스트의 원하는 위치에 값을 추가할 수 있다.

▷index위치에 x의 값을 넣는다.

●pop()

▷리스트 맨 뒤의 값을 빼낸다.

●pop(index)

▷리스트에서 index가 가리키는 값을 빼내고, 빼낸 항목은 삭제한다.

●remove

▷리스트에서 x를 삭제하는 함수이다.

▷단, x값이 중복되면 첫 번째 만 삭제한다.

●count()

▷리스트에서 찾을 값의 개수 세기

●index()

▷리스트에서 값의 위치 반환

●len()

▷리스트 총 요소 개수를 반환

 

◆튜플 자료형

▷한번 저장된 값은 수정할 수 없는 자료형으로 읽기 전용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.

▷튜플은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없다는 점만 제외하면 리스트와 완전히 동일

 

◆딕셔너리

순서가 없는 컬렉션 자료형, 각각의 요소는 key:value 형태로 저장된다.

▷딕셔너리는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다.

●딕셔너리 요소에 접근하기

▷딕셔너리를 접근 할 때에는 [] 안에 키를 입력한다.

>>>game={'lol':1,overwatch2:2}
>>>game[lol]
1

●keys() 

▷딕셔너리의 키들만 모아서 반환한다.

●values()

▷딕셔너리의 값들만 모아서 반환한다.

●items() 함수

▷Key 와 Value의 쌍을 튜플로 묶은 값을 반환한다.

>>>game={'lol':1,overwatch2:2}
>>>game.keys()
dict_keys(['lol','overwatch')
>>>game.values()
dict_values([1,2])
>>>game.items()
dict_items([('lol',1),('overwatch',2))

●get()

▷딕셔너리의 키로 값을 추출하는 기능으로 딕셔너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, 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KeyError를 발생시키지 않는다.

▷get.(키,'없을시 출력문')

●del(키)

▷딕셔너리 요소 삭제하기

●pop(키)

▷딕션너리 요소 삭제하기, 단 삭제된 value값을 출력한다.

 

◆세트

▷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

▷세트에는 중복과 순서가 없다.

●add()

▷값 1개 추가

●update()

▷값 여러개 추가

●remove()

▷특정 값 삭제


◆함수

◆형변환 함수

●int(). float(), str()

◆수학 함수

●모듈(라이브러리) import 하는법

import 모듈명
from 모듈명 import 함수명
from 모듈명 import 함수명 as 약어

●import math

import random

●random.random()

▷0.0과 1.0 사이의 임의의 부동 소수점을 반환. (1은 반환하지 않음)

●random.randint(x, y)

▷x과 y사이의 임의의 정수를 반환. (x~y)

●random.choice(리스트)

▷리스트에서 요소를 무작위로 선택하려면 choice를 사용

 

◆함수 정의

●def 를 사용한다.

●여러개의 값이 반환될 경우 리스트로 반환된다.

●생략

 

●global a 

▷선언된 a 라는 변수를 전역 변수로 할당

 

●매개변수의 개수를 지정하지 않고 전달하는 방법

▷인수에 *변수 를 넣어준다.

def sum(*num):
	result=0
	for n in num:
    	result+=num
    return result

 

●함수 호출할 때 딕셔너리 형식의 매개변수를 키=값 형식으로 사용

def dic_func(**dic):
	for n in dic.keys():
    	print(n,'번',dic[n])
        
dic_func(1=길동이,2=석쇠,3=사마귀)

#출력결과
1 번 길동이
2 번 석쇠
3 번 사마귀

 


◆문자열

◆문자열 함수

●upper(), lower()

▷대소문자 변환

●swapcase()

▷대소문자 상호 변환

●title() 

▷단어의 앞글자만 대문자

●count()

▷문자개수 세기

●find()

▷위치 찾기, 찾는 값이 없다면 오류발생

●rfind()

▷오른쪽부터 위치 찾기

●startswitch()

▷찾는값으로 시작하면 True를 아니면 False를 반환

●endswitch()

찾는값으로 끝나면 True를 아니면 False를 반환

 

●strip(), rstrip(), lstrip()

▷문자열 앞뒤 공백이나 특정 문자 제거

●replace(' ','@')

▷' '를 '@'로 변경

 

●split('인자') 

문자열을 공백이나 다른 문자로 분리해서 리스트를 변환

splitlines() 

▷개행문자 단위로 분리

●join('인자')

▷구분자.join('문자열')로 묶어준다.

문자열 하나하나 사이에 구분자를 넣어서 반환한다.

 

●map(함수명, 리스트명)

▷함수명에 대입하기

 

●center(숫자)

▷숫자만큼 전체 자릿수를 확보하고 문자열을 가운데로 배치

●ljust() 

▷왼쪽에 붙여서 출력

●rjust()

▷오른쪽에 붙여서 출력

●zfill()

▷오른쪽으로 붙여쓰고 왼쪽 빈 공간은 0으로 채운다.

 

●isdigit(), isalpha() 

▷숫자(문자)로만 구성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서 True, False 반환

●isalnum()

▷글자와 숫자가 섞여 있는지 확인해서 True, False로 반환

●islower(), isupper()

▷전체가 소(대)문자로만 구성되었는지 확인해서 True, False 반환

●isspace()

▷공백문자로만 구성되었는지 확인해서 True, False 반환